Spring (2) 썸네일형 리스트형 [Kotlin] parameter vs property, Constructor parameter is never used as a property 코틀린으로 개발 중 아래와 같은 경고를 보게 됐다. constructor parameter is never used as a property 자바에서는 클래스 내부에서 프로퍼티와 생성자를 각각 따로 정의하고, 생성자 내부에서 프로퍼티를 값을 초기화 해주는 코드를 직접 구현하기 때문에 생성자 파라미터와 프로퍼티 개념이 헷갈릴 일이 없다. 그런데 코틀린에서는 주생성자와 프로퍼티(멤버함수) 정의를 한 번에 할 수 있다보니, 생각없이 단순 파라미터를 프로퍼티로 정의하고 갑자기 뜬 경고에 당황했다. 당황한게 창피해서 정리해본다. parameter 우선 parameter는 매개변수로 함수나 생성자에 전달하는 값을 의미한다. fun printName(name: Sting) { println(name) } class .. [Spring/Kotlin] Entity는 data class로 구현하는게 좋을까? Entity는 data class로 구현하는게 좋을까? 본론부터 이야기면 Entity는 data class로 구현하면 안된다. data class의 특징 데이터 클래스는 toString() , hashCode() , equals() , copy()메소드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data class는 상속이 안된다. = open이 아닌 final이다. 이유 : data class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메소드들을 제대로 오버라이딩해서 구현할 수 없기 때문에 data class는 상속하지 못하도록 만들어졌다. entity class의 요구사항 https://docs.oracle.com/javaee/5/tutorial/doc/bnbqa.html Requirements for Entity Classes An ent.. 이전 1 다음